경제입문자를 위한 경제용어

금융경제용어 700선 034. 경제성장률

bloomingeconomy 2024. 10. 6. 06:00
반응형

안녕하세요? 블루밍경제입니다. 

오늘의 경제용어는 경제성장률입니다. 

평소 뉴스 등에서 많이 보던 단어인데 자세히 살펴봅시다. 

 

경제성장률
경제성장률이란 일정 기간(분기 또는 연간) 중 한 나라의 경제규모, 즉 국민소득 규모가 늘어난 정도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국민소득은 생산활동의 범위나 생산물의 가치평가 방법 등에 따라 여러 가지 개념으로 나뉘지만, 경제성장률을 계산하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국민소득은 각 경제활동부문에서 창출해낸 실질 부가가치의 합계, 즉 실질국내총생산(실질GDP)이다. 따라서 경제성장률은 대부분의 경우 실질GDP 증가율을 의미한다.

경제성장률 = 금년 실질 G D P - 전년 실질 G D P/ 전년 실질 G D P × 100

한편 수 개년 동안의 연평균 경제성장률을 계산하고자 할 때에는 복리 연율의 산식을 이용하여 연평균 경제성장률을 산출한다 .

연관검색어 : 잠재GDP 성장률

 

출처:

https://www.bok.or.kr/portal/bbs/B0000249/view.do?nttId=235017&menuNo=200765

 

경제금융용어 700선 | 경제교육 발간자료(상세) | 경제교육 | 업무별 정보 | 뉴스/자료 | 한국은행

  * PDF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2023년에 발간된 8쇄와 9쇄는 내용면에서 차이가 없습니다) ** 경제금융용어 700선은 다음의 경로에서 e-book 으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

www.bok.or.kr

 

경제성장률이란?

 한 나라의 경제가 얼마나 성장했는지를 보여주는 숫자이다.

쉽게 말해, 작년보다 올해 얼마나 더 많은 물건을 만들고 서비스가 제공됐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경제가 성장했다는 것은 사람들이 더 많은 물건을 사고팔고, 기업들이 더 많이 생산하며,

일자리가 늘어나고 있다는 뜻이다.

경제성장률을 

  1. GDP (국내총생산)
    • GDP는 그 나라에서 한 해 동안 만들어진 모든 상품과 서비스의 총액을 의미. 예를 들어, 자동차, 식품, 병원 서비스 등 모든 경제 활동을 돈으로 환산한 것.
  2. 경제성장률GDP가 작년보다 얼마나 늘었는지를 퍼센트로 보여주는 것.
    • 예시: 작년에 우리나라에서 총 1,000억 원어치의 물건과 서비스를 만들었다면, 올해는 1,050억 원어치를 만들었다고 할게요. 그러면 경제성장률 GDP는 5%가 됩니다.

왜 중요한가?

  • 경제가 성장한다는 것: 나라의 경제 활동이 활발해지고, 사람들은 더 많은 돈을 벌고, 소비도 증가하며, 일자리도 늘어난다는 의미.
  • 삶의 질 향상: 경제가 성장하면 국민들의 생활 수준도 좋아진다. 더 많은 사람들이 좋은 교육, 의료 서비스 등을 누릴 수 있게 된다.
  • 국가 경쟁력: 경제성장률이 높으면, 그 나라의 국제 경쟁력도 강화되고, 투자자들이 더 많이 투자하려고 한다.

경제성장률의 반대는?

  • 경기 침체: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가 되면, 경제가 줄어들고 있다는 뜻. 즉, 사람들이 물건을 덜 사고, 기업들이 덜 생산하고, 일자리가 줄어드는 상황이다.

경제성장률은 한 나라의 경제 건강 상태를 보여주는 체온계 같은 역할을 해요. 숫자가 높을수록 경제가 활발하고, 낮거나 마이너스일 때는 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나타낸다.

 

 

* 관련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40925147200002?input=1195m

 

OECD, 올해 韓 성장률 2.6→2.5%…물가 전망치 0.1%p↓ | 연합뉴스

(세종=연합뉴스) 박원희 기자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우리나라 경제의 성장률 전망치를 2.6%에서 2.5%로 낮췄다.

www.yna.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