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블루밍 경제 입니다.
오늘의 금융경제용어는 경기 입니다.
익숙하고 잘 아는 단어이지만 함께 살펴봅시다.
경기 경기(business conditions)라는 단어는 일상생활에서 경제적인 형편을 뜻하는 말로 자주 사용된다. 기업들은 매출이 늘고 채산성이 좋아지면 경기가 좋다고 인식할 것이고, 가계는 임금이 인상되거나 주식, 부동산 등의 자산가격이 올라 살림이 좋아지면 경기가 좋아졌다고 느낄 것이다. 범위를 넓혀 국민경제 전체를 대상으로 볼 때, 경기가 좋다는 것은 생산, 소비, 투자 등의 경제활동이 평균 수준 이상으로 활발한 경우를 의미한다 . 장기적 관점에서 경기는 항상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생산・물가・고용이 상승하는 시기와 하락하는 시기가 주기적으로 순환을 반복하는 경제활동의 상황을 의미한다. 경기는 호황기→후퇴기→불황기→회복기→호황기가 반복되면서 끊임없이 변동하며, 이렇게 경기의 일정한 움직임이 되풀이 되는 것을 경기의 순환(business cycle)이라고 한다. 이러한 경기의 순환과정은 확장국면과 수축국면이 교대로 되풀이 되는 반복성, 여러 측면의 경제활동을 포괄하는 다양성, 확장 및 수축 양상이 시차를 두고 경제 각 부문에 전달되는 파급성, 그리고 일정한 방향으로 계속 확대해 나가는 지속성 등의 특징을 갖는다. 경기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생산, 투자, 고용, 수출 등 경제 각 부문의 여러 경제지표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방법, 종합경기지표로 판단하는 방법, 기업가나 소비자들의 경기판단 및 전망 설문조사 결과에 의한 방법 등이 있다 . 연관검색어 : 경기종합지수, 경기동향지수(경기확산지수), 동행종합지수 |
출처:
https://www.bok.or.kr/portal/bbs/B0000249/view.do?nttId=235017&menuNo=200765
경제금융용어 700선 | 경제교육 발간자료(상세) | 경제교육 | 업무별 정보 | 뉴스/자료 | 한국은행
* PDF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2023년에 발간된 8쇄와 9쇄는 내용면에서 차이가 없습니다) ** 경제금융용어 700선은 다음의 경로에서 e-book 으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
www.bok.or.kr
경기란 경제 활동의 전반적인 흐름을 의미하며, 특정 기간 동안 경제가 얼마나 활발하게 돌아가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경기는 경기호황과 경기불황이라는 두 가지 상태를 반복하며, 이를 경기 변동이라고 부른다.
경기의 주요 단계:
- 호황: 경제 성장, 고용 증가, 소비 및 투자가 활발한 시기.
- 정점: 경제 성장이 최고조에 달한 시점.
- 불황: 경제 활동이 둔화되고, 생산, 소비, 고용이 줄어드는 시기.
- 저점: 경제 침체가 가장 심각한 상태.
경기의 변화는 여러 경제 지표(예: GDP, 고용률, 물가 상승률 등)를 통해 측정됩니다.
내년에는 경기가 어떻게 풀릴지, 지금보다 조금 경기 호황이 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관련기사 :
반응형
'경제입문자를 위한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경제용어700선 027. 경기순응성 (8) | 2024.09.29 |
---|---|
금융경제용어700선 026. 경기동향지수(경기확산지수) (11) | 2024.09.28 |
금융경제용어700선 24. 겸업주의/전업주의 (11) | 2024.09.26 |
금융경제용어700선 023. 결제완결성 (5) | 2024.09.25 |
금융경제용어700선 022. 결제부족자금 공동분담제 (1) | 2024.09.24 |